독후감 7

[모든 것이 괜찮아지는 기술] 2023. 5. 1.

🧩 Keyword 🧩 -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행복 - 현실 🎯 Key Sentence 🎯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생명체와 삶에 관심이 엄청 많았다. 그는 우리에게 저 너머에 있는 진리가 아니라 '우리 마음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찾으라고 격려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음이 무엇인지 아는 것보다 좋은 삶을 사는 것에 집중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삶의 자연스러운 목적, 영혼의 최상의 상태를 에우다이모니아라고 보았다. 이 말은 보통 행복으로 해석되지만 더 정확하게는 번성을 의미한다. 최상의 상태에 이르는 방법에 대해서는 두 철학자의 이해가 달랐다. 🧑🏻‍💻 Book Report 🧑🏻‍💻 이 철학자들은 대단한 철학자들이다. 그러나 각기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

Reading 2023.05.01

[역행자] 2023. 2. 12. [완독]

🧩 Keyword 🧩 - 인생의 자유 - 시행착오 - 행복 🎯 Key Sentence 🎯 뇌는 인간을 쉬게 만들지 않는다. 인간은 왜 만족하지 못할까? 바로 도파민 때문이다. 우리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루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쾌락을 같이 얻는다. 결과를 내면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행복감을 느낀다. 우리는 목표를 설정하고 실패하는 과정에서 성장한다. 실패와 시행착오는 필연적인 것이다. 🧑🏻‍💻 독후감 🧑🏻‍💻 오늘의 부분에서 느낀 것은 "행복"이다. 나는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하는가. 경제적 자유가 과연 행복을 만들어 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 빠졌다. 이 책의 저자 자청은 이제까지 말한 경제적 자유와 돈에 대한 것이 있었지만, 이 모든 것은 행복에 대해 말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돈은 행복을 위..

Reading 2023.02.12

[Thinking] 2023. 2.11.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中]

아래와 같이 책 구절 중 감명깊은 하나의 문장을 따와서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타이머로 10분을 재고 절차 없이 쓰는 것이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10분 동안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나의 뇌 확장에 목적이 있다. 일시 : '23. 2.11. 16:10 장소 : 전민동 공차 카페에서 📕 오늘의 구절 📕 심리학계의 대가 알프레드 아들러는 이런 말을 남겼다. 사람은 패배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때로는 스스로 병에 걸린다. 이를 '인지적 부조화이론'이라고 하는데,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나 존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유를 댄다고 알려져 있다. -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中 - 🧐 나의 생각 💭 나도 이러한 경우가 있었는지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나는 현재의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픈척을 하고 현재 이 상황이 싫어서 ..

Thinking 2023.02.11

[Thinking] 2023. 2.10. [미움받을 용기 中]

아래와 같이 책 구절 중 감명깊은 하나의 문장을 따와서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타이머로 10분을 재고 절차 없이 쓰는 것이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10분 동안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나의 뇌 확장에 목적이 있다. 일시 : '23. 2.10. 20:51 장소 : 우리집 내 책상 📕 오늘의 구절 📕 만일 인생이 정상에 도달하기 위한 등산이라고 한다면, 인생의 대부분을 '길 위'에서 보내게 되네. 즉 산 정상에 오르는 순간부터 '진 짜 인생'이 시작되고, 거기에 이르기까지의 노정은 '가짜인 나'가 지나온 '가짜 인생'이 되는 거라네. - 미움받을 용기 中 - 이 책을 여러 번 읽어보았지만, 항상 초반 부분을 읽기 시작하면 이 책이 후반에 어떤 내용으로 마무리 되었는지 기억나지 않았다. 그러나 위 내용은 이 책의..

Thinking 2023.02.10

[역행자] 2023. 2. 10.

🧩 Keyword 🧩 - 문제 해결력 🎯 Key Sentence 🎯 "사실 직장은 인생이라는 장기적인 문제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 1. 상대를 편하게 해주기 2. 상대를 행복하게 해주기 1. 정체성 변화 2. 20권의 법칙 3. 유튜브 시청 4. 글쓰기를 통한 초사고 세팅 5.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학습으로 🧑🏻‍💻 독후감 🧑🏻‍💻 지금까지의 내용을 살펴보자면, 총체적으로 "책을 많이 읽고, 정보를 받아들임에 있어 필요한 정체성의 해첵사 필요하며, 더욱이 많은 글쓰기, 다독, 다작, 다상량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는 이번 방학에 들어와 많은 독서를 하게 되어 어느정도 독서가 습관화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독 다작 다상량에서 다상량이 뇌 확장에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한..

Reading 2023.02.10

[베이즈 통계학] 2022.12.25.

2022년 12월 25일 일요일 오늘의 배운 내용은 베이즈 추정에서는 어떤 환경이든 일단 추정이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이 점이 베이즈 통계학의 강점이며 어느 한 쪽에 치우쳐진 것이 아닌, 양쪽의 가능성을 남겨둔 채 그 가능성의 비율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 전부라는 것이다. 이후 통계량에 대해, 수치를 보고 판단을 내리는 것은 통계학자의 몫이므로 '사장의 통계학'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베이즈 통계학과 표준 통계학 사이의 차이점에서, 베이즈 통계학은 표준 통계학과 달리 사전 확률이라는 것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최우원리" => 세상에 일어나는 일은 일어날 확률이 큰 것이다. "최우추정량"은 최우원리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것으로 보아, 베이즈 통계학과 표준 통계학은 분..

Reading 2022.12.25

[베이즈 통계학] 2022.12.24.

2022년 12월 24일 토요일의 독후감. 나는 지금까지 이 책을 읽으며 사람이 마음으로 생각하는 수치, 즉 "주관 확률"에 대해 아직까지 모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경제학, 통계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하나의 개념으로 자리 잡아져 있는 개념이다. 이 개념에 대해 조금 더 파해쳐보자. 지금까지는 이 개념으로부터 오는 모호함을 어떻게 이겨내어 실용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조금 더 읽어보자. 또, 베이즈 통계학은 "느슨함"이라는 것으로 "사전확률이라는 불가사의한 것을 설정하는 것"으로 추정에 대해 가능하게 한다. "대체로"라는 해석에서 '표준 통계학'과 '베이즈 통계학'의 입장 차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표준 통계학에서는 '대체로 A일 것이다.'에서 B일 가능성이 ..

Reading 2022.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