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462

[베이즈 통계학] 2022.12.24.

2022년 12월 24일 토요일의 독후감. 나는 지금까지 이 책을 읽으며 사람이 마음으로 생각하는 수치, 즉 "주관 확률"에 대해 아직까지 모호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경제학, 통계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하나의 개념으로 자리 잡아져 있는 개념이다. 이 개념에 대해 조금 더 파해쳐보자. 지금까지는 이 개념으로부터 오는 모호함을 어떻게 이겨내어 실용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조금 더 읽어보자. 또, 베이즈 통계학은 "느슨함"이라는 것으로 "사전확률이라는 불가사의한 것을 설정하는 것"으로 추정에 대해 가능하게 한다. "대체로"라는 해석에서 '표준 통계학'과 '베이즈 통계학'의 입장 차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표준 통계학에서는 '대체로 A일 것이다.'에서 B일 가능성이 ..

Reading 2022.12.24

[베이즈 통계학] 2022.12.23.

2022년 12월 23일 금요일의 독후감. 베이즈 통계학 책 읽기 시작. idea 1. '베이즈 공식'은 극히 일부만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방침을 고수했다. idea2. 계산은 산수 수준에서 해결한다. 강점 : 데이터가 적어도 추측할 수 있다. 데이터가 많을 수록 정확해진다. 들어오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추측을 업데이터 한다. "베이즈 추정" "둘로 분기된 세계" => "가능세계" "베이즈 역확률" => "사후확률" "베이즈 갱신" => "베이즈 추정" 베이즈 통계학을 통해 기업들이 어떻게 이 시대에서 앞서나가는지를 배웠다. 항상 앞서 나가는 기업들에게 이유가 있다 생각하였는데 해당 책에서 배울 수 있었다. 여러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 베이즈 통계학은 필연적이라고 ..

Reading 2022.12.23